본문 바로가기
  • Books and Peoples
노벨(Nobel)상 관련 비하인드 스토리

노벨상이 취소된 적이 있다? – 몰랐던 노벨상의 역사

by 123SearchMan 2025. 3. 10.

 

노벨상은 과학, 문학, 평화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매년 꾸준히 시상되는 것처럼 보이는 노벨상도 역사 속에서 여러 번 취소되거나 수여되지 않은 적이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이유로 노벨상이 취소되거나 중단되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노벨상 시상 과정에서 발생한 이례적인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세계대전과 노벨상의 공백

 

노벨상이 처음 제정된 1901년 이후, 모든 분야에서 매년 수상자가 발표된 것은 아닙니다. 특히 세계대전 기간 동안에는 여러 차례 노벨상이 수여되지 않았습니다.

 

(1) 1차 세계대전(1914~1918)과 노벨상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노벨위원회는 일부 분야에서 수상자를 선정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전쟁으로 인해 과학 연구와 문학 활동이 위축되었으며, 평화상 수여도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에 수상자가 없었던 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 1914: 평화상 없음

- 1915~1916: 평화상 없음

- 1917: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에게 평화상 수여 (전쟁 중 유일한 수상)

- 1918: 평화상 없음

 

(2) 2차 세계대전(1939~1945)과 노벨상

 

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노벨상이 더욱 심각한 영향을 받았습니다. 전쟁으로 인해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중단해야 했고, 국제 정세가 불안정해지면서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를 선정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습니다.

 

- 1939~1943: 평화상 없음

- 1940~1942: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학·의학상, 문학상 모두 수상자 없음

- 1944: 일부 시상 재개 (: 평화상 - 국제적십자위원회 수상)

 

이러한 전쟁 기간 동안 노벨상이 중단되었던 것은 수상자의 선정뿐만 아니라, 당시 사회적 분위기와도 관련이 깊었습니다.

 

2. 정치적 이유로 수상자가 결정되지 않은 경우

 

(1) 1935평화상을 거부당한 카를 폰 오시에츠키

 

독일의 반()나치 언론인 카를 폰 오시에츠키(Carl von Ossietzky)1935년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독일 나치 정권은 이를 강하게 반대하며, 독일 시민이 노벨상을 받는 것을 금지하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결국 그는 수상을 거부당한 채 감옥에서 병을 얻어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2) 1948마하트마 간디의 평화상 불발

 

인도 독립운동을 이끈 마하트마 간디(Mahatma Gandhi)는 평화상 후보로 여러 차례 거론되었습니다. 하지만 1948, 그가 암살당하면서 평화상은 아예 수상자를 선정하지 않았습니다. 노벨위원회는 공식적으로 이 상을 받을 적절한 인물이 없다라고 발표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간디가 살아 있었다면 평화상을 받았을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3. 후보로 선정되었지만 수상하지 못한 경우

 

노벨상이 공식적으로 취소되지는 않았지만, 특정 후보가 정치적·사회적 이유로 배제된 사례도 있습니다.

 

1) 히틀러, 스탈린, 무솔리니의 노벨상 후보 논란

 

놀랍게도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스탈린, 베니토 무솔리니와 같은 독재자들이 노벨상 후보로 추천된 적이 있습니다.

 

- 히틀러: 1939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됨 (스웨덴 국회의원의 풍자적인 추천으로 철회됨)

- 스탈린: 1945년과 1948년 평화상 후보로 추천됨 (2차 세계대전 종전과 관련하여)

- 무솔리니: 1935년 문학상 후보로 거론됨

 

이들은 결국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했지만, 후보로 추천되었다는 사실 자체가 논란이 되었습니다.

 

4. 노벨상이 취소된 경우는?

 

노벨상 자체가 공식적으로 취소된 적은 없지만, 특정 수상자가 수상을 거부하거나 철회된 사례가 있습니다.

 

(1) 르두크(Jean-Paul Sartre)의 노벨 문학상 거부 (1964)

 

프랑스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196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지만, 개인적인 철학적 신념을 이유로 상을 거부하였습니다. 그는 어떤 공식적인 상도 받지 않는다는 입장이었으며, 노벨위원회에 정중히 사양 의사를 밝혔습니다.

 

(2) 레 둑 토(Le Duc Tho)의 노벨 평화상 거부 (1973)

 

베트남 평화 협정에 기여한 레 둑 토(Le Duc Tho)1973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베트남 전쟁이 완전히 종결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수상을 거부했습니다. 이는 역사상 유일하게 노벨 평화상을 거부한 사례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결론 노벨상은 항상 공정했을까?

 

노벨상은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상이지만, 역사적으로 정치적·사회적 영향을 받아 수상자가 결정되지 않거나 수상이 취소된 사례들이 존재합니다. 전쟁, 정치적 갈등, 사회적 논란 등 여러 이유로 인해 노벨상이 중단되거나 수상자가 선정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으며, 때로는 논란이 되는 인물이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통해 우리는 노벨상이 단순한 과학적·문학적 성취를 넘어, 시대적 상황과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노벨상이 계속해서 공정성과 권위를 유지하며 인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